모두CBT | 국가고시 실기시험 부시기!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 서술형(201번 ~ 232번) 해설 페이지
1번
☆
아세틸렌가스 용기에 표시된 TP25와 FP25를 설명하시오.
TP25: 내압시험압력 25MPa FP25: 최고충전압력 25MPa
해설
내압시험압력(기호: TP, 단위: MPa) (액화석유가스용기 및 초저온용기는 제외)
최고충전압력(기호: FP, 단위: MPa) (압축가스를 충전하는 용기 및 초저온용기에 한정)
2번
☆☆
자동전격방지기 종류가 SP-3A일 때 이를 설명하시오.
SP: 외장형
3: 300A
A: 용접기에 내장되어 있는 콘덴서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
3번
☆☆☆
다음 위험점의 정의를 쓰시오.
∙협착점 ∙끼임점 ∙물림점 ∙접선물림점 ∙회전말림점
협착점: 왕복운동하는 동작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끼임점: 고정부분과 회전 또는 직선운동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점
물림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회전체가 맞닿아서 생기는 위험점
접선물림점: 회전하는 부분의 접선방향으로 물려들어갈 위험이 존재하는 위험점
회전말림점: 회전하는 물체의 길이 등이 불규칙한 부위와 돌기 회전부 위에 옷, 장갑 등이 말려드는 위험점
4번
☆
다음 설명에 맞는 연삭기 각도를 쓰시오.
1. 일반연삭작업 등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탁상용 연삭기 노출각도
2. 연삭숫돌의 상부를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탁상용 연삭기 노출각도
3. 원통연삭기, 센터리스연삭기, 공구연삭기, 만능연삭기,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연삭기 덮개 노출각도
4. 휴대용 연삭기, 스윙연삭기, 스라브연삭기,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연삭기 덮개 각도
5. 평면연삭기, 절단연삭기,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연삭기 덮개 각도
1. 125도 이내 2. 60도 이내 3. 180도 이내 4. 180도 이내 5. 15도 이상
5번
☆
공정안전보고서와 관련되어 변경관리를 분류할 때 변경의 종류 3가지 쓰시오.
정상변경/비상변경/임시변경
해설
변경관리의 분류
1. 변경발의자는 변경관리 내용을 “변경” 또는 “단순 교체”로 분류하되, 확실한 판단이 서지 않을 경우에는 변경 발의부서의 장 또는 변경관리위원회의 판정에 따른다.
2. 변경대상으로 분류된 경우, “정상변경”, “비상변경” 또는 “임시변경”으로 구분하여 해당 절차에 따라 실시한다.
3. 단순 교체인 경우에는 “정비작업일지”에 기재하고, 시행한다.
4. 긴급한 상황으로 우선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비상변경절차에 따른다
6번
☆
강관비계 사용하여 조립 시 사용되는 부속철물 종류 3가지 쓰시오.
클램프/벽이음재/강관조인트
해설
강관비계 조립에 필요한 부재
비계용 강관, 받침철물(조절형, 고정형 등), 이음철물(강관조인트 등), 조임철물(클램프 등), 벽이음재, 작업발판
7번
☆☆
사업주가 실시해야 하는 건강진단 종류 5가지 쓰시오.
일반건강진단/수시건강진단/임시건강진단/특수건강진단/배치 전 건강진단
8번
☆☆
다음 물질을 대상으로 한 특수건강진단 배치 후 첫 번째로 받는 시기를 쓰시오.
∙벤젠 ∙소음, 충격소음 ∙염화비닐 ∙석면, 면 분진
∙벤젠: 2개월 이내
∙소음, 충격소음: 12개월 이내
∙염화비닐: 3개월 이내
∙석면, 면 분진: 12개월 이내
9번
☆☆
근골격계에 영향을 주는 VDT 증후군 같은 반복성 질환은 누적외상성질환(CTDs)으로 통칭된다. 누적외상성질환(CTDs)의 발생요인 3가지 쓰시오.
진동/반복적 동작/무리한 힘 사용
해설
-“근골격계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ㆍ다리의 신경ㆍ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10번
☆
자동운동 생기기 쉬운 조건 3가지 쓰시오.
광점 작을 것/대상 단순할 것/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 것
11번
☆☆☆
폭굉유도거리 짧아지는 조건 4가지 쓰시오.
압력 높을수록 폭굉유도거리 짧아진다.
점화원 에너지 높을수록 폭굉유도거리 짧아진다.
연소속도 빠를수록 폭굉유도거리 짧아진다.
관 직경 작을수록 폭굉유도거리 짧아진다.
12번
☆☆
분진폭발 위험성 증가시키는 조건 4가지 쓰시오.
분진 온도가 높을수록 폭발 위험성 커진다.
분진 발열량이 높을수록 폭발 위험성 커진다.
분위기 중 산소 농도가 클수록 폭발 위험성 커진다.
분진 표면적이 입자체적보다 클수록 폭발 위험성 커진다.
13번
☆
분진폭발과정이다.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A. 주위 공기와 혼합 B. 점화원에 의해 폭발 C. 폭발열에 의해 주위 입자 온도상승
D. 입자표면 온도 상승 E. 입자표면 열분해 및 기체 발생
D → E → A → B → C
해설
분진폭발 발생 순서
∙입자표면 온도 상승 → 입자표면 열분해 및 기체 발생 → 주위 공기와 혼합 → 점화원에 의해 폭발 → 폭발열에 의해 주위 입자 온도상승
∙퇴적분진 → 비산 → 분산 → 발화원 → 전면폭발 → 2차폭발
14번
☆
정전기 대전 종류 4가지 쓰시오.
박리대전/파괴대전/유동대전/분출대전
15번
☆☆
정전기 대전에 관한 내용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A: 박리대전 B: 파괴대전 C: 유동대전 D: 분출대전 E: 교반대전
16번
☆
변전설비에서 MOF를 설명하시오.
MOF는 Metering Out Fit으로 계기용 변성기이며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과전류로 인한 재해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17번
☆
강제 환기의 정의를 쓰시오.
송풍기, 환기 팬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실내를 환기하는 것으로 기계 환기라고도 한다.
18번
☆
정격하중과 권상하중의 정의를 쓰시오.
정격하중: 권상하중에서 훅 등 달기기구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
권상하중: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
해설
-"정격하중(rated load)"이란 크레인의 권상하중에서 훅, 크래브 또는 버킷 등 달기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을 말한다. 다만, 지브가 있는 크레인 등으로서 경사각의 위치, 지브의 길이에 따라 권상능력이 달라지는 것은 그 위치의 권상하중에서 달기기구의 중량을 뺀 하중 가운데 최대치를 말한다.
-"권상하중(hoisting load)"이란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말한다.
19번
☆☆☆
고체의 연소 형태 4가지 쓰시오.
분해연소/증발연소/표면연소/자기연소
20번
☆☆☆
토사 붕괴의 종류 3가지 쓰시오.
사면천단부 붕괴/사면중심부 붕괴/사면하단부 붕괴
해설
토사의 붕괴는 사면천단부 붕괴, 사면중심부 붕괴, 사면하단부 붕괴의 형태이며 작업위치와 붕괴예상지점의 사전조사를 필요로 한다.
21번
☆
토석 붕괴의 외적 원인 4가지 쓰시오.
사면 경사 증가/성토 높이 증가/구조물 하중작용/공사에 의한 진동 증가
해설
토석이 붕괴되는 외적 원인은 다음 각 호와 같으므로 굴착작업 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3.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 하중의 증가
4.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 중량의 증가
5. 지진, 차량, 구조물의 하중작용
6. 토사 및 암석의 혼합층 두께
22번
☆
토사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점검시기 4가지 쓰시오.
작업 전/작업 중/작업 후/비온 후
해설
토사붕괴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1. 전 지표면의 답사
2. 경사면의 지층 변화부 상황 확인
3. 부석의 상황 변화의 확인
4. 용수의 발생 유ㆍ무 또는 용수량의 변화 확인
5. 결빙과 해빙에 대한 상황의 확인
6. 각종 경사면 보호공의 변위, 탈락 유ㆍ무
7. 점검시기는 작업 전 중ㆍ후, 비온 후, 인접 작업구역에서 발파한 경우에 실시한다.
23번
☆☆☆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의하는 전압의 구분을 쓰시오.
저압- 직류: 1.5kV 이하, 교류: 1kV 이하
고압- 직류: 1.5kV 초과, 교류: 1kV 초과 7kV 이하
특고압- 직류, 교류 7kV 초과
해설
전압을 구분하는 저압, 고압 및 특고압은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1. 저압: 직류는 1.5kV 이하, 교류는 1kV 이하인 것.
2. 고압: 직류는 1.5kV를, 교류는 1kV를 초과하고, 7kV 이하인 것.
3. 특고압: 7kV를 초과하는 것.
24번
☆
비파괴 검사 종류 4가지 쓰시오.
육안검사/자분탐상검사/침투탐상검사/와류탐상검사
25번
☆
밀폐공간에서 실행해야 할 퍼지작업 종류 3가지를 쓰시오.
일소 퍼지/진공 퍼지/압력 퍼지
1. 사이폰 퍼지(Siphon Purging)
보호 장치로부터 배수되는 액체를 불활성 가스로 대체하기 위하여, 액체를 채운 후 배수함으로서 그 공간에 불활성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
2. 진공 퍼지(Vacuum Purging)
저장용기나 반응기 등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먼저 보호하려는 장치의 압력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불활성 가스의 주입으로 진공을 파괴하여 퍼지시키는 방법
3. 압력 퍼지(Pressure Purging)
역으로 불활성 가스를 가압하에서 장치 내로 주입하고 불활성 가스가 공간에 채워진 후에 압력을 대기로 방출함으로서 정상 압력으로 환원하는 방법
4. 일소 퍼지(Sweep-Through Purging)(=스위프 퍼지)
한쪽 개구부를 통하여 퍼지가스를 장치 안으로 주입하고 다른 쪽 개구부를 통하여 가스를 배출함으로서 잔여 증기를 일소하는 방법
26번
☆
터널 계측은 굴착지반의 거동, 지보공 부재의 변위, 응력의 변화 등에 대한 정밀 측정을 실시하므로서 시공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설계시의 조사치와 비교분석하여 현장조건에 적정하도록 수정, 보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터널 계측 방법 5가지 쓰시오.
내공변위 측정/지중변위 측정/천단침하 측정/지중침하 측정/지표면 침하측정
해설
터널 계측은 굴착지반의 거동, 지보공 부재의 변위, 응력의 변화 등에 대한 정밀 측정을 실시하므로서 시공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설계시의 조사치와 비교분석하여 현장조건에 적정하도록 수정, 보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 각 호를 기준으로 한다.
1. 터널내 육안조사 2. 내공변위 측정 3. 천단침하 측정
4. 록 볼트 인발시험 5. 지표면 침하측정 6. 지중변위 측정
7. 지중침하 측정 8. 지중수평변위 측정 9. 지하수위 측정
10. 록 볼트 축력측정 11. 뿜어붙이기 콘크리트 응력측정 12. 터널내 탄성과 속도측정
13. 주변 구조물의 변형상태 조사
27번
☆
안전기에 자율안전확인 표시 외 추가 표시사항 2가지를 쓰시오.
가스 종류/가스 흐름방향
해설
자율안전확인 역화방지기(=안전기)에는 규칙 제121조(자율안전확인의 표시)에 따른 표시 외에 다음 각 목의 사항을 추가로 표시하여야 한다.
가. 가스의 흐름방향
나. 가스의 종류
28번
☆
위험성평가와 관련된 내용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1. A이란 유해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한다.
2. B이란 유해ㆍ위험요인이 사망,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 등을 고려한 위험의 정도를 말한다.
3. C란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ㆍ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A: 유해위험요인 B: 위험성 C: 위험성평가
해설
1. "유해ㆍ위험요인"이란 유해ㆍ위험을 일으킬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것의 고유한 특징이나 속성을 말한다.
2. "위험성"이란 유해ㆍ위험요인이 사망,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중대성 등을 고려한 위험의 정도를 말한다.
3. "위험성평가"란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ㆍ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29번
☆☆
지반 굴착 시 굴착면 기울기 기준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A: 1:1.8 B: 1:1 C: 1:0.5 D: 1:1.2
30번
☆
다음 설명에 맞는 용어를 쓰시오.
1. 단조로운 업무가 장시간 지속될 때 작업자의 감각기능 및 판단능력이 둔화 또는 마비되는 현상
2. 초기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
3. 운동대사량과 기초대사량의 비
1. 감각차단현상 2. 디버깅 3. 에너지 대사율
31번
☆
TWI 교육내용 4가지 쓰시오.
작업지도훈련(JIT)/작업방법훈련(JMT)/작업안전훈련(JST)/인간관계훈련(JRT)
32번
☆☆
재해조사의 목적 3가지 쓰시오.
재해예방 자료수집/동종 및 유사재해 재발방지/재해발생 원인 및 결함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