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CBT | 국가고시 실기시험 부시기!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해설 페이지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1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단순반응 시간 0.2초, 1bit 증가당 0.5초의 기울기, 자극수가 8개일 때 반응시간

    Hicks law 


    Reaction Time = a + b log2N

    = 0.2 + 0.5 * log28 = 1.7초

    2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청각적 표시장치가 시작적 표시장치에 비해 유리한점 4가지

    (1) 전달정보가 간단하고 짧을 때

    (2) 전달정보가 후에 재참조되지 않을 때

    (3) 전달정보가 시간적인 사사을 다룰 때

    (4) 전달정보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

    (5) 수신자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 유지가 필요할 때

    (6)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이는 경우

    3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조종장치의 손잡이 길이가 5cm이고, 60˚를 움직였을 때, 표시장치에서 3cm가 이동. C/R비는? 

    C/R 비 = (a/360)*2πL / 표시장치이동거리

    = (60/360)*2π*5cm / 3cm = 1.74

    4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A집단의 평균 신장이 170.2cm, 표준편차가 5.2일 때 신장의 95%tile, 50%tile, 5%tile을 구하시오 (단, 정규분포를 따르며, Z0.05 = -1.645, Z0.95 = 1.645)

    * %tile = 평균 ± (표준편차 * Z)

    (1) 95%tile = 170.2 + (5.2 * 1.645) = 178.75 cm

    (2) 50%tile = 170.2 cm

    (3) 5%tile = 170.2 - (5.2 * 1.645) = 161.65cm

    5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원자재로부터 완제품이 나올 때까지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과 검사의 모든 과정을 순서대로 표현한 도표

    작업공정도

    6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흰글자에 인접한 검정영역으로 퍼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광삼효과

    7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15kg 중량물을 위치1 (27, 60)에서 위치2(50, 145)로 하루 총 46분 동안 분당 3번씩 들기작업을 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NIOSH 들기지침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의 단순 들기작업 분석표와 같이 나타내었으며 빈도계수 0.88, 비대칭각도 0, 박스의 손잡이 커플링 'fair'로 간주할 때 다음의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RWL

    (2) LI지수

    (1)

    RWL = LC * HM * VM * DM * AM * FM * CM

    LC = 23

    HM = 25 / H = 25 / 27 = 0.93

    VM = 1 - (0.003 * | V-75|) = 1 - (0.003*15) = 0.96

    DM = 0.82 + (4.5 / D) = 0.82 + (4.5/85) = 0.87

    AM = 1 - (0.032*A) = 1 - (0.032*0) = 1

    FM = 0.88

    CM = 0.95

    RWL = 23 * 0.93 * 0.96 * 0.87 * 1 * 0.88 * 0.95 = 14.94

     

    (2) LI = 중량물 무게 / RWL = 15/14.94 = 1

     

    8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인체동작의 유형 중 굴곡 (flexion), 외전 (abduction) 회내(pronation)에 대해 설명

    굴곡: 팔꿈치로 팔굽히기 할때 처럼, 관절에서 각도가 감소하는 인체부분의 동작

    외전: 팔을 옆으로 들 때처럼 인체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측면에서의 인체부위의 동작

    회내: 손과 전완의 회전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 인체부분의 동작

    9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생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단위시간당 에너지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기초대사량: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

    10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10. 아래를 보고 알맞은것을 고르시오

     

    정신적 부하가 증가하면 부정맥 지수가 ( 증가 , 감소 ) 하며, 정신적 부하가 감소하면 점멸융합주파수가 ( 증가, 감소 ) 한다

    감소, 증가

    11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한 장소에서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활동에서 사람이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은? 

    작업공간포락면

    12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사업장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을 위한 보건관리자의 역할 3가지

    (1) 작업장 순회 - 주기적으로 작업장을 순회하며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 작업공정 및 작업유해 요인을 파악

    (2) 주기적 면담 - 주기적인 작업자 면담 등을 통하여 근골격계질환 증상호소자를 조기에 발견

    (3) 증상자 조치 - 7일 이상 지속되는 증상을 가진 작업자가 있을 경우 지속적인 관찰, 전문의 진단의뢰 등의 필요한 조치

    (4) 환자 면담 조기 복귀 - 근골격계질환자를 주기적으로 면담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작업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움 

    (5) 정책 결정 참여 - 예방·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정책결정에 참여

    13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13. 작업자가 무릎을 지면에 대고 쪼그리고 앉아 용접하는 작업의 유해요소와 개선할 수 있는 적합한 예방대책

    문제이미지
    Preview

    14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정상작업영역과 최대작업영역이란? 

    - 정상작업영역: 상완을 자연스럽게 수직으로 늘어뜨린 채, 전완만으로 뻗어 파악할 수 있는 구역 (34~45cm)

    - 최대작업영역: 상완과 전완을 모두 곧게 편채로 파악할 수 있는 구역(55~65cm)

    15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RULA의 B그룹 평가항목 3가지

    목, 몸통, 다리


    * A그룹 : 윗팔, 아래팔, 손목, 손목 비틀림

    16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조절식 의자설계에 필요한 인체측정치수들이 아래와 같을때, 좌판깊이, 좌판높이 기준치수를 구하라 (정규분포를 따르고, Z0.05 = -1.645, Z0.95 = 1.645)

    문제이미지
    Preview

    - 좌판깊이(최소집단치 설계, 무릎 뒤 길이):

    5%tile(여자) = 44.4 - (2.1 * 1.645) = 40.95cm

    - 좌판높이(조절식 설계, 오금 높이):

    5%tile(여자) = 38 - (1.7 * 1.645) = 35.2cm

    95%tile(남자) = 41.3 + (1.9 * 1.645) = 44.43cm

    17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작업과 관련하여 특정 신체부위 및 근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근육, 연골, 건, 인대, 관절,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여 목, 허리, 무릎, 어깨, 팔, 손목, 및 손가락 등에 나타나는 만성적인 건강장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근골격계질환

    18

    2018년도 3회차 인간공학기사 실기(필답형)

    수행도 평가기법인 Westinghouse 시스템에서 종합적 평가요소 3가지는? 

    (1) 숙련도

    (2) 노력도

    (3) 작업 환경

    (4) 일관성